[교육] < 방북취재기> 북,전반적12년제 의무교육실시 1 - 전국 일제히 개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4-08 12:45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
|
▲색종이꽃가루를 맞으며 입학식장에 들어오는 어린이들
북, 4월 1일 전국적 일제히 개학, 신입생 맞아 경사
북은 4월 1일 유치원으로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일제히 개학하고 첫 수업을 시작 하였다. 특히 전국 유치원, 소학교, 초급 및 고급중학교에서는 꽃대문을 활짝 열고 개학식과 함께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전국의 애육원, 초등학원, 중등학원, 혁명학원도 일제히 개학하였다. 전문학교, 대학교, 공장대학, 야간대학, 원격대학들도 개학하였다. 1코리안뉴스가 취재한 창전소학교에서는 교정에 들어서는 신입생들을 선생님들과 상급학생들이 따뜻하게 맞이하면서 색색의 테잎을 드려주고 직접 만든 색종이꽃가루를 뿌려주면서 축하해주었다.
▲선생님의 손을 꼭 잡고 들어오고 있다.
▲신입생들과 함께 개학식을 진행하고 있다. 북에선 흰저고리에 검거나 짙은 곤색의 주름치마가 최고의 정신을 표현하는 예복이다,
![]()
부모님들은 입학식 개학식을 다 마치고 아이들이 교실로 들어가 수업을 하는 동안에도 집으로 돌아가지 않으신다. 학교 운동장이나 교문 앞에서 기다리면서 학부모들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계신 분들이 적지 않았다. 몇몇 학부모들은 쉬는 시간을 찾아 교실에 잠깐 들어와 아이의 사진을 찍거나 수업중인 문의 유리창으로 교실을 살짝 드려다 보는 모습도 보인다.
준비된 선생님과 준비된 학생들
입학, 개학 첫날부터 수업이 알차게 진행된다. 선생님은 물론 학생들도 만반의 준비가 되어있었다.
소학교 어떻게 바뀌었나
오늘부터 실시되는 12년제의무교육의 학제는 유치원 높은반 1년, 소학교 5년,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을 말한다. 북에서 말하는 교육이란 모두 무료교육을 의미한다.
소학교가 기존의 4학년에서 5학년으로 1년 늘어났고 금년도 4월 1일 입학생부터 5년제가 되었다. 이말은 그중 일부 생일이1월 부터 6월 까지의 어린이가 5년제로 졸업하고 생일이 7월부터 12월까지의 어린이는 4년만에 4학년으로 졸업하고 초급중학교로 올라가게 된다는 뜻이다.
교과 과정도 다시 편성되었다. 교과 내용에서 성장능력을 충분히 이뤄나가게 하면서 자연과 사회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케 하여 앞으로 중등교육을 원만하게 받을 수 있도록 완비하는 것을 목표로 교과정의 변화를 주었다. 소학교 5년 과정은 이미 형성된 주위세계를 보다 논리적인 인식에로 세분화하고 구체적으로 접근시키는 표준화 교육이다. 이러한 인식능력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다음편에 유치원 교육을 다루면서설명해 본다.
소학교에서는 과목이 편성되어 정규 교안에 따라 진행되며 이 교과정안만 마치면 범 일반적인 사회적 존재로서 주위세계를 인식하고 개조하는 목적의식적인 활동을 펼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기초를 터득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을 받으며 소학교 학생들은 소년단원이 되어 사회정치적인 당당한 한 주체로 적극 나라의 일에 참가한다. 소학교 3학년이 되면 모든 어린이들은 소년단원이 된다.
<전반적12년의무교육제> 는 뿌리깊은교육의 계승발전
북은 시대의 발전에 따라 교육을 보다 높은 단계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2010년 6월 내각교육성을 교육위원회로 발전적개편을 단행하고 2012년 9월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을 실시할데 대한 법령>을 발포 하였다.
북은 교육제도의 뿌리를 1936년<조국10대강령>에 두고 1950년대에 <전반적초등의무교육제>와 <전반적중등의무교육제>를 무료로 실시하였고, 1970년대에 무료 <전반적11년제의무교육제>로 발전시켜 실시하였으며, 2012년 에는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을 실시할데 대한 법령>을 발포한 후 2013년 부터 새교재 집필에 들어갔다.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실시할데대한 법령>의 집행을 위해서는 막대한 지적 조건과 물질적 조건의 토대가 필요했는데 북에서 이에 대한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교육부문 뿐 아니라 전 사회적인 적극적 지원이 일어났다. 2013-2014년, 2-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준비한다고 했던 교육내용 개편과 교육자재시설 준비과정이 전국적 전부문적 지원으로 1년반만에 앞당겨 완비됨으로서 이번 4월 1일 전국 모든 학교는 개학식과 입학식을 갖고 지식경제시대에 맞게 전반적으로 새롭게 편성된 교과정을 펼치게 되었다. 그에 걸맞는 시설 설비 기자재 교육도구도 일절 갖추게 되었다.
미국과 그 동조세력들의 북에대한 제재가 멈춰지지 않고 북을 타격목표로 정한 한미군사훈련을 하는 등의 전쟁의 위험이 사라지지 않는 이 시각에도 북의 학교에선 개학, 입학의 첫날 환영의 노래소리가 울렸고 아이들은 마음껏 공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북의 한 인사가 이야기한다. "우리는 '장군님은 전선으로, 소년들은 야영소로 !' 라고 말합니다. 노래까지 나와 있지 않습니까." 개학식, 입학식의 마무리 장식을 노래로 합창하며 마쳤는데 그 노래 재목이 "척척척 발걸음" 이었다.
지식경제시대에 맞는 교과과정과 교육환경
지식경제시대 미래를 짊어지고 발달된 사회주의문명을 향유할 아이들에게 아주 달라진 새교과서가 나누어지고 최선의 환경으로 갖춰진 새로운 차원의 교육이 시작되었다.
▲동식물의 표본들을 갖추고 자연공부를 한다.
북의 아이들은 '만 페이지의 책읽기 누가 먼저 달성하나' 시합중, 누구나 하루 2시간 독서는 기본이다. <계속> [출처: 1코리안뉴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