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탈북자를 만나다①] 이만갑 폐지 서명운동이라도 하고 싶다 > 남녘소식

본문 바로가기
남녘소식

[르포-탈북자를 만나다①] 이만갑 폐지 서명운동이라도 하고 싶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2-19 13:38 댓글0건

본문

 

[르포-탈북자를 만나다①]

이만갑 폐지 서명운동이라도 하고 싶다

 

 

문경환 기자 NKtoday21@gmail.com

 

 

한국 내 탈북자가 27000명이나 된다. 그러나 이들의 생활여건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어느덧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가 된 한국 내 북한 사람들. 이들 탈북자의 생활과 고민들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이들은 정부의 감시 아래 있어 자신의 속내를 완전히 드러내지 못한다. 그런 이유로 탈북자들의 실명과 구체적인 인적사항은 공개하지 않기로 한다.

 

 

봄을 재촉하는 부슬비가 내리는 2월 어느 날. 설을 앞두고 실향민이 모인다는 소식을 듣고 인천으로 향했다. 여기 실향민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산가족과는 좀 다르다. 30~50대 비교적 젊은 실향민이다. 정부에서는 이들에게 새터민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그러나 이날 모인 이들 가운데 자신을 새터민이라 부른 이는 한 명도 없었다. 이들은 스스로를 탈북자라 불렀다. 정부도 결국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포기했다고 한다.

 

감자탕집에 모인 탈북자는 열댓 명. 어린 아이들도 넷이나 있다. 대부분 인천 등지에 사는 이들이다. 평소에 자주 만나 친분이 있어보였다. 모이자마자 이야기꽃이 피어났다. 그중 최씨란 사람이 뜻밖의 이야기를 했다.

 

“여기 두 명 빼고는 모두 처음 보는 사람들입니다. 우리 탈북자들은 처음 만나도 금방 친해집니다. 한가족 같아요.”

 

이들의 억양은 재중동포(조선족)와 비슷했다. 

 

“평소에는 서울말 쓰려고 한다. 그래도 사람들이 금방 알아챈다. 감정이 격해지면 북한말투가 더 심해진다. 보통 사람들이 조선족이냐고 물어본다.”

 

탈북자들은 북한을 뭐라 부르는지 궁금했는데 그냥 <북한>이라 부른다. 한국인이 다 됐다 싶었다.

 

소주가 돌았다. 그런데 남자들만 술을 먹고 여자들은 안 먹는다. 열 명이 넘는 여자들 가운데 단 두 명만 술을 먹는다.

 

“북한에선 여자들이 술 잘 안 먹어요. 한국 와서 술만 배웠어요. 호호호.”

 

이들의 주된 화젯거리는 단연 이만갑(이제 만나러 갑니다)이었다. 종편방송인 채널A에서 진행하며 탈북여성들이 나와 북한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프로그램이다. 사람들의 성토가 이어진다.

 

 

“난 이만갑만 나오면 텔레비전 꺼버려. 그런 프로그램을 어떻게 아직까지 할 수가 있어? 정부는 왜 중단을 안 시키는 거야?”

 

“우리 탈북자들은 이만갑 다 싫어합니다. 거기 출연한 사람들은 양심도 없어요. 있는 사실을 그대로 말하면 되지 왜 거짓말을 해?”

 

“거기서 하는 말은 20%만 사실이고 80%는 거짓말입니다.”

 

“뭐가 20%야? 1% 빼고 나머지 99%는 거짓말이야.”

 

“작가가 시켜서 그런다잖아. 걔들도 하고 싶어서 하겠어?”

 

“아니 아무리 작가가 시켜도 그렇지. 그럼 작가가 X 먹으라면 먹을 거야? 양심이 없는 거야. 돈 주니까 막 하는 거지.”

 

“한 번 출연에 50을 준다는데 그 정도면 짭짤하지.”

 

실제 이만갑 출연료가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탈북자들 사이에서는 50만 원으로 알려져 있는 모양이다. 

 

“돈만 주면 뭐든 하는 거야? 에휴.”

 

“이만갑 출연한 애들은 탈북자 사회에서 얼굴도 못 내밀어요.”

 

“난 이만갑 없애라고 서명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어. 그거 몇 명 정도 서명해야 없어지는 거예요?”

 

이만갑에서 나오는 얘기에 그렇게 거짓이 많은 걸까?

 

“예전에 이만갑에서 칫솔이 없어서 온 가족이 칫솔 하나로 양치질을 한다고 했어요. 우리 탈북자들은 그 소리 듣고 다 거짓말이라고 했어요. 북한에 부족한 게 많지만 제일 흔한 게 치약 칫솔이거든요. 칫솔 하나로 온 가족이 돌려쓴다? 무슨 헛소리에요?”

 

“애를 낳았는데 먹일 게 없어서 소 여물에서 옥수수 알을 건져서 먹였다는데 그게 말이 됩니까? 갓난아기가 옥수수를 먹을 수 있어요?”

 

“거기 십대 초반에 탈북한 애들도 나오던데 걔네들이 뭘 알겠어요? 그런데 북한에 대해서 모르는 게 없는 것처럼 말해요. 북한은 자기가 살던 지역 외에는 잘 몰라요. 함경북도 무슨 군에 살았다하면 그 군에 대해서만 아는 거예요.”

 

그날 모인 이들은 대부분 함경북도 출신이다. 어쩌다 탈북을 했을까?

 

“중국에 왔다갔다 하면서 밀수를 좀 했는데 돈도 꽤 많이 벌었어요. 그런데 중국에서 장사를 하다 보니 한국 돈을 좀 만지게 됐어요. 그게 적발되는 바람에 할 수 없이 북한에서 나왔지.”

 

기자에 대한 경계심이 풀어지지 않았는지 다른 이들은 왜 탈북했는지 자세한 이야기를 꺼린다.(계속)

 

[출처: NK투데이]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5-02-19 14:33:38 새 소식에서 복사 됨]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게시물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1월 17일 (금)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1월 16일 (목)
뉴욕에서 조선학교 차별반대 시위
엘에이 코리아타운에서 북과 남 해외 어린이 미술전 열려
엘에이에서 윤석열 퇴진 촉구 촛불집회, 거리음악회 열려
엘에이촛불행동 창립총회 열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보도 정찰위성 성공적으로 발사
최근게시물
총련의 원로의 한사람이라고 하시며
《혁신》의 연막속에 벌리는 정치《요술》
[시] 사진을 찍자
세상에서 가장 우월한 참다운 인민의 정권
혁명사적비 《덕천땅에 아로새겨진 불멸의 업적 길이 전해가리》 덕천시에 건립
겁 먹은 개가 많이 짖는다
[도서연재] 친일로 얼룩진 죄악의 행적1
[사진으로 보는 노동신문] 12월 1일(금)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1월 30일 (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항공절에 즈음하여 조선인민군 공군사령부와 제1공군사단 비행련대를 축하방문하시였다
민족자주정신과 민족적자부심을 가지는것은 나라와 민족의 부강번영을 이룩하기 위한 중요담보 (1)
세계 반제투쟁 확대-역사적인 아테네국제 컨퍼런스
Copyright ⓒ 2000-2023 KANCC(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All rights reserved.
E-mail:  :  webmaster@kanc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