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 | 【내나라】자연과의 조화와 지속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편집국 작성일25-05-22 06:33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자연과의 조화와 지속개발
편집국
5월 22일 【내나라】와 【조선중앙통신】은 국제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하여 국가적인 관심속에 진행되고 있는 생물다양성보호사업에 관한 소식을 게재하였다.
기사에서 조선은 생물다양성협약체양국으로서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리용하기 위해 노력하며 과학적기초를 마련해가고 있다고 하였다.
기사전문과 사진은 다음과 같다.
5월 22일은 국제생물다양성의 날이다.
우리 나라는 생물다양성협약체약국으로서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리용하기 위해 노력하고있다.
생물다양성보호를 위한 중장기적인 사업들을 계획하고 그에 기초한 활동들이 벌어지고있다.
국가적인 록색중장기계획을 통해 나라의 생물다양성보호와 지속적경제발전을 합리적으로 결합시켜나가기 위한 사업들을 작성하고 리행하고있다.
종합적인 해충관리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과학연구활동이 심화되고 국가적인 조치들이 취해져 생태환경을 보호하고 농업발전과 깨끗한 도시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들이 진척되고있다.
동식물들의 종류와 그 서식조건을 정상적으로 확인하고 보호하기 위한 사업들도 추진하고있다.
생물다양성중점지역들을 확정한데 기초하여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들에 보호구를 설정하고 주요보호구들을 련결하는 생태통로들을 합리적으로 선정해주어 나라의 동식물종들을 적극 보호해나가고있다.
산림복구와 간석지개간을 비롯하여 대자연개조사업들이 생물다양성에 주는 영향들을 과학적으로 평가분석하고 그 보호를 위한 과학기술적대책을 세워나가고있다.
철새들의 서식기간에 동서해연안의 습지들과 주요철새보호구들에서 계절별,년차별에 따르는 전반적인 물새자원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있다.
해당 과학연구단위들에서 생물종목록,위협종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여 나라의 생물자원보호를 위한 과학적기초를 마련해나가고있다.(끝)
자연과의 조화와 지속개발
5월 22일은 국제생물다양성의 날이다.
생물다양성은 한마디로 생태환경의 다양성, 생태계안에서의 생물종의 다양성, 종안에서의 유전자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지구상의 생물종들은 일단 사멸되면 그 재생이 불가능하기때문에 전반적인 생태계통의 안정성이 파괴되고 나아가서 인류의 생존환경에 부정적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료에 의하면 인간활동에 의하여 륙지환경의 4분의 3이, 바다환경의 66%가 변화된 결과 100만종의 동식물들이 멸종위험에 처해있다고 한다.
생물다양성의 파괴는 오늘날 기후변화, 환경오염과 함께 지구의 3대위기로 되고있다. 이로부터 2022년 12월에 진행된 제15차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체약국대회에서는 곤명-몬트리올전지구적생물다양성기틀이 채택되였다.
이 기틀은 자연적인 회복을 장려하고 동시에 유전자원의 리용으로부터 얻어지는 혜택들을 공정하고 평등하게 리용할수 있도록 담보하며 리행수단들을 제공하고 사람들이 자연과 조화롭게 어울려 살게 되는 2050년까지의 전망목표들을 달성할수 있게 하여준다.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서기국은 올해 국제생물다양성의 날의 주제를 《자연과의 조화와 지속개발》로 정하고 협약체약국들을 비롯하여 모든 련관단체들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막고 그를 역전시키기 위하여 공동행동에로 나설것을 호소하고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나라의 동식물종류와 그 서식조건을 정상적으로 조사하고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을 활발히 진행해나가고있다.
나라의 생물다양성중점지역들을 확정한데 기초하여 보호구들의 수와 면적을 늘여나가도록 하는 한편 주요보호구들과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들을 련결하는 생태통로들을 설정하도록 하고있다.
또한 보호구들에서 보호대상들을 비롯한 전반적인 동식물들의 분포와 토지리용상태에 대한 조사와 연구에 기초하여 보호구의 기능구역을 설정하고 그 관리를 위한 실무적대책을 취하고있다.
산림복구와 간석지건설 등 주요대자연개조사업이 생물다양성에 주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 분석하여 나라의 생물다양성보호를 위한 대책들을 세워나가고있다.
겨울나이시기와 봄, 가을철이행시기 우리 나라 물새자원량평가를 정상적으로 진행하여 전지구적인 물새조사사업에 기여하고있으며 철새(물새)중점분포지역을 확정하고 국가적인 철새보호구망설계를 위한 연구를 심화시켜나가고있다.
이와 함께 해당 연구기관들과의 협력밑에 우리 나라 생물종목록과 위기종목록을 갱신하여 나라의 생물자원관리와 보호를 위한 기초를 마련해나가고있다.
국가과학원 생물다양성연구소 소장 박사 리충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