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조국소식 | 민속놀이 널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10-02-19 00:00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공지사항(disclaimer); 재미동포전국연합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륙일오 편집사에서 운영하는 [우리민족끼리](www.uriminzokkiri.com) 인터넷 매체와 기사교류 협약을 맺어 기사를 상호 교환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우리민족끼리]에서 제공하는 기사를 재미동포전국연합회 웹사이트에 싣기로 하였습니다. 기사교류협약은 재미동포전국연합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다양한 소식을 왜곡없이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민족끼리]에서 제공한 기사는 반드시 재미동포전국연합회의 공식적인 견해나 입장 그리고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회원 각자의 개별적인 견해나 입장과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표기는 원문 그대로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편집부- |
민속놀이 널뛰기
조선속담에 《정월대보름날에 녀자들이 널뛰기를 하면 그해에는 발바닥에 가시가 들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널뛰기는 설명절과 정월 대보름날에 우리 녀성들이 즐겨한 민속놀이중의 하나이다.
우리 나라에서 널뛰기는 전통적으로 오랜 력사적시기를 거치면서 널리 보급되여왔다.
민간에서 전해진데 의하면 널뛰기는 녀성들이 봉건사회에서 바깥출입을 마음대로 할수 없었기때문에 담장곁에 널을 놓고 뛰면서 동경과 호기심을 가지고 밖을 내다보게 된데로부터 유래된것이라고 한다. 이로 보아 널뛰기는 봉건적질곡에서 벗어나려는 녀성들의 심정이 반영된 민속놀이라고 볼수 있다.
리조시기의 력사자료들에 의하면 우리 나라에서 널뛰기는 그 이전시기부터 녀성들속에서 널리 진행되였다고 한다.
널뛰기를 초판희, 판무, 도판희라고도 하였다.
18세기말에 나온 책 《경도잡지》에서는 널뛰기가 설풍속의 하나라고 하면서 《항간에서 부녀자들이 크고 긴 널판자를 짚단우에 가로 걸쳐놓고 량쪽끝에 갈라서서 구르며 뛰는데 그 높이가 몇자씩이나 된다. 그때 패물 울리는 소리가 쟁쟁하고 지쳐서 떨어져나가는것으로 락을 삼으니 이것을 초판희라 한다.》라고 하였다.
리조시기 우리 나라 녀성들이 즐기던 널뛰기는 일본에도 전파된것으로 알려져있다. 청나라시기에 나온 기행문 《류큐(일본 오끼나와)국기략》에는 리조초기 오끼나와사람이 사신으로 우리 나라에 와서 녀성들이 널뛰기를 하는것을 보고가서 오끼나와에 보급하였으며 일본에서는 그것을 판무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널뛰기는 예로부터 민족적정서가 매우 풍부하고 녀성들의 신체단련에도 좋은 활동적인 놀이로서 주요민속명절들에 크게 벌리는것이 관례로 되여왔다.
특히 년중 정월초하루와 대보름날에 녀성들의 널뛰기가 성행하였는데 달밝은 정월대보름날에는 너도나도 밤늦게까지 널뛰기를 즐기였다.
널뛰기방법은 지역마다 여러가지였지만 기본은 널에 뛰여올라 한바퀴 돌아내려오는 《데사리》와 《중둥꺾는다》고 하여 허리를 뒤로 한번 굽혔다가 내려오는 방법 등이 있다.
널뛰기는 처음에 녀성들의 민속놀이로 시작되였지만 사람들의 신체단련뿐아니라 한곳에 다같이 모여 즐겁게 놀면서 이웃사이에 정을 나누고 화목을 도모하는데 좋은것으로 하여 점차 남녀로소 가리지 않고 온 마을사람들이 너도나도 참가하는 대중적인 민속놀이의 하나로 발전하게 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