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교향악단 평양 방문〉 《평양의 미국인》에 보내는 갈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8-02-26 00:00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뉴욕교향악단 공연, 동북아 새 시대 개막의 서곡 |
【평양발 김지영기자】 평양의 무대에서 미국의 지휘자와 연주가들은 아름다운 화음을 울리였다. 그들은 우렁찬 박수갈채를 받았다. 정세발전의 산물 뉴욕교향악단의 공연은 오랜 적대국들사이의 갈등과 굴레도 초월할수 있는 음악의 위대한 힘을 증명하였다. 조선과 미국의 국가주악에 이어 드보르쟈크의 《신세계로부터》, 조지 거쉬인의 《빠리의 미국인》 등이 연주되였다. 뉴욕교향악단의 수많은 연주곡목 가운데서도 특히 미국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명곡들이다. 동평양대극장 1,500석 공연장은 말로 표현할수 없는 조용한 감동에 휩싸이였다. 조선의 청중들은 연주된 음악을 순수한 마음으로 받아들이였다. 북받치는 감정은 아마도 미국의 청중들과 다를바 없다. 무대를 향해 손벽을 치는 모습에 가식은 없었다. 음악이라는 공통어로 교감이 이루어진것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정세발전의 흐름을 보여준 뉴욕교향악단의 평양공연의 의의는 일반적인 문화예술행사의 범주를 벗어난다. 공연은 조미 두 나라 정부의 관심속에 실현된것이다. 6자회담에서 일련의 합의가 이루어지고 조선반도핵문제의 직접적당사국인 조미쌍방은 적대관계청산을 위한 실천적조치를 취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핵론의에 머무르지 않고 정치, 경제, 문화 등 보다 넓은 분야의 량자간 교류의 증대와 상호신뢰의 촉진을 공통과제로 상정하였다. 세기를 이어 치렬한 대결전을 벌려온 조선과 미국의 새로운 관계정립은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다른 유관국들의 외교안보정책도 재검토가 불가피하다. 실로 뉴욕교향악단의 평양공연은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의 질서재편을 예고하는 사변이다. 음악정치의 구현 공연은 조선국내와 세계 각국에 생방송되였다. 텔레비죤을 통해 공연을 보게 된 조선의 천만군민은 교향악단이 울리는 화음을 새 시대 개막의 서곡으로 들었을것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창건되여 60돐이 되는 해, 미국 유수의 교향악단이 이 나라의 수도에서 《애국가》를 연주하였다. 미국은 조선의 건국, 자주독립국가의 출범을 반대하였고 지난 세기 50년대에는 조선반도에서 전쟁의 불길이 터졌다. 세기가 바뀐 오늘까지 조미간에는 국교가 없고 정전체계에 의한 교전관계가 지속되여왔다. 천만군민은 뉴욕교향악단이 연주하는 《애국가》를 무심히 듣지 않았다. 자기 나라 최고령도자의 독특한 음악정치의 생활력을 체험을 통해 알기때문이다. 《고난의 행군》, 강행군이라고 불리운 1990년대 후반의 시련의 시기에도 음악을 수단으로 하고 음악의 정신적감화력으로 대중의 심금을 울리는 정치방식이 실천되였다. 령도자는 온 나라에 울리는 음악을 통해 군대와 인민을 투쟁과 위훈에로 불러일으켰다. 적대국들과의 대결이 격화되는 가운데 군대중시, 국방선행의 선군로선을 고무추동한것은 공훈국가합창단이 부르는 혁명군가, 전시가요들이였다. 《김정일식음악정치》에서는 교향악도 중요한 역할을 논다. 새 세기에 들어 《고난의 행군》의 결속작품과도 같은 교향조곡 《선군장정의 길》이 나왔다. 올해 2월 최고령도자의 탄생일에 즈음하여 동평양대극장에서 열린 음악회에서는 조선의 국립교향악단이 이 곡을 연주하였다.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는 정치가는 많지만 조선의 최고령도자는 음악이 정치에 이바지하고 정치를 정서적으로 안받침해주어야 한다는 경륜을 밝힌 점에서 구별된다. 대결종식의 결단 《미국이 우리를 더 이상 적대시하지 않고 평화공존의 길로 나아간다면 새로운 창조, 더 큰 비약이 가능하다.》 청중의 한사람은 이렇게 말했다. 올해 조선은 2012년에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놓을 목표와 구상을 내외에 공표하였다. 뉴욕교향악단의 공연에 대하여 닫겨있던 문을 열고 사람들에게 외부세계를 보여주는 계기로 된다고 말하는것은 내부의 론리를 알지 못한 제3자의 일방적인 견해다. 령도자의 두리에 굳게 뭉쳐 시련을 헤쳐온 천만군민은 조선이 걸어온 로정우에 자기 나름의 《신세계》를 보고 들었다. 조국의 분단과 적대국들에 의한 압력과 봉쇄, 고통과 수난을 강요한 낡은 구도를 허물어버릴 조선의 결단은 이미 내려진것이다. 미국의 악단이 연주하는 조선의 국가가 전세계에 울려퍼졌다. 미국의 국가를 듣는 청중들의 모습도 함께 전파되였다. 국제적판도에서 대대적으로 벌어진 음악정치의 의미는 심오하다. 조미 량국의 행보가 지역의 국제관계를 뒤흔들수 있다. 6자회담의 진전으로 시작된 변화를 긍정하고 촉진시키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뉴욕교향악단은 반가운 손님들이였다. 그들은 조선의 수도를 찾은 예술사절, 《평양의 미국인》에 박수갈채를 보냈다.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공연장, 음악에 대한 청중들의 화답은 따뜻하고 열렬하였다. |
[출처:조선신보]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