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동포가 보는 광주민주항쟁 > 미주/해외/국제

본문 바로가기
미주/해외/국제

2세 동포가 보는 광주민주항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5-18 16:52 댓글0건

본문

 

 

2세 동포가 보는 광주민주항쟁

 

 

염상진 기자

 

 

다음 글은 5살에 미국으로 이민온 맹유진 2세동포가 시카고광주민주항쟁 36주년기념식에서 발표한 글이다. 그는 광주민주항쟁과 관련된 역사, 동영상, 기사, 증언들을 보고 가슴이 무너졌으며, 살벌한 국가폭력 앞에서도 시위대가 서로 돕고 사랑하며 함께 투쟁하는 모습에서 경외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또 광주항쟁은 집단적으로 인간의 존엄과 권리를 촉구한 것이며, 그것은 불평등, 차별, 국가 억압,  자본가들의 폭력, 그리고 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오늘 이곳에서도 계속 되고 있는 것과 공통한 투쟁이라고 하였다. 이어 우리 모두 이 정신을 절대로 잊지 말고 계승하여 인간을 누구나 존중하고 평등하게 대우하는 공동체와 미래를 만들기 위하여 투쟁하고 저항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5.18

 

 

Yujin Maeng

 

 

I grew up with a hyphenated identity—Korean-American. I was born in Korea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when I was 5 years old, where I barely held onto the little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I hold today. Growing up in the United States meant that I grew up learning nothing about my own history—Korean history.

 

It wasn’t until many years later, when Ferguson happened, that I ran across the phras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n think-pieces and articles that pleaded for Asian Americans, specifically Korean Americans, to vocally support the Black Lives Matter movement. The phras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lluded to a historical event in Korea. In which Koreans lived through a similar experience of suppression, brutality, and murders at the hand of the state that Black Americans currently experience today in America.

 

Looking at the videos, photos, testimonials, and articles that document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 was heartbroken to see images of beatings, murders, burnings, and shootings of Korean citizens—Korean mothers, fathers, sisters, and brothers—at the hands of their own government.

 

But looking over the documentation, I was also inspired and in awe of the Gwangju community, who came together to feed each other, support each other, love each other, and who came together.

 

The Gwangju’s Democratic Uprising is the unflinching demand and affirmation for human dignity. It is the same struggle that we see in America when we see racist police violence, mass incarceration, gentrification, unequal pay, mass unemployment, and inaccessible housing, education, land, and healthcare. It’s a common struggle against state repression, capitalist violence, and imperialist nations and it’s a struggle that we continue today.

 

The Gwangu Democratic uprising was a collective demand for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We can never forget what happened in Gwangu and the spirit of those who fought for justice. We must continue to fight, struggle, and resist today in order to work towards and achieve a community and future that treats every human being with respect and equality.

 

Thank you.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6-05-18 16:54:21 새 소식에서 복사 됨]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게시물
[로동신문] 역사의 진실은 왜곡할 수 없다
【조선중앙통신 】우리 인민의 귀중한 민족문화유산-동명왕릉
[자주연합 준비위 성명] 미국은 통상·안보 명분 경제수탈 중단하라! / [민플러스] 중미무역협상…
[민주조선] 새시대 지방발전정책의 드팀없는 실행으로 인민의 기쁨 커만 간다
【조선중앙통신】국제아동절에 즈음하여 1
[로동신문] 공산주의혁명가는 정신력의 최강자이다
[로동신문] 눈부시게 변모되는 평양, 다락식주택구의 본보기 경루동
최근게시물
[동영상] 새시대 함선공업혁명과 해군무력현대화의 과감한 전진발전 조선인민군 해군 구축함 진수기념식 성대히 …
[로동신문] 이주민문제로 복잡해지고 있는 서방세계
[송영애의 미국에서 바라본 세상] 불법체류사태의 주범은 신자유주의 수탈로 남미 인민들의 삶을 파괴한 미국 제…
[로동신문] 문평제련소 연제련직장의 두 당원에 대한 이야기
【조선신보】국제아동절 소식2
[사진으로 보는 로동신문] 6월 13일 (금)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6월 12일 (목)
[로동신문-혁명활동보도]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조선인민군 해군 구축함 진수기념식에서 하신 연설
[로동신문-혁명활동보도] 새시대 함선공업혁명과 해군무력현대화의 과감한 전진발전, 조선인민군 해군 구축함 진수…
절박한 마음에서 재방송
[로동신문] 역사는 제국주의의 힘의 정책에 파산을 선고하였다
[로동신문] 당은 언제나 인민의 곁에 있다
Copyright ⓒ 2000-2025 KANCC(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All rights reserved.
E-mail:  :  webmaster@kancc.org